상담 칼럼

가족의 항상성 (Homeostasis)

작성자 정보

  • 칼럼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한 아빠가 가부장적이어서 집에서는 자신의 아이들에게 명령조로 이야기하고 화가 나면 함부로 아이들에게 표현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자 그런 남편으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해야겠다는 마음을 가진 아이들의 엄마는 아빠가 야단을 칠 때 아이들의 편을 들어 아이들을 보호하려고 했다. 아이들에 대해 측은한 엄마는 아이들에게 우선순위를 두게 되었고 아이들이 원하는 모든 것을 해주려고 했다. 그러자 아빠는 자신보다 아이들을 더 챙기는 아내에게 섭섭함이 생겼고 아이들에게 더 무관심하며 함부로 대하게 되었다. 그런 남편을 보면서 아내는 더 자녀를 자신이 잘 돌보아야 하고 남편이 주는 상처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된다. 시간이 갈수록 이 가정의 형태는 아빠는 고립이 되어 가고 엄마와 아이들은 더 친해져서 아빠와 맞서는 모습이 되어갔다. 그리고 아이들의 마음에는 아빠는 이상하고 나쁜 사람 그리고 엄마는 헌신적이고 좋은 사람이라고 하는 생각들이 쌓이게 되었다. 이 엄마는 과연 좋은 엄마일까? 


어떤 한 여성은 어려운 가정의 가장이다. 엄마는 우울증으로 인해 일을 하지 못하고 집에 있고 동생은 일자리를 찾지 못해 놀고 있는데 어려운 형편에서 자신은 열심히 공부해서 장학금을 받아 좋은 학위를 가지고 전문직업을 갖고 살아가고 있다. 이 여성은 누릴 수 있는 환경과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결혼을 하지 않고 자신을 희생하여 엄마를 돌보고 가정의 모든 대소사를 다 처리한다. 감정적으로 다운되어 있는 엄마를 격려하고 직장없이 놀고 있는 동생을 이해하고 직장에서는 직장 동료들의 비위를 맞추며 하루 종일 일을 하며 삶을 살아가는 책임감 있는 여성이다. 이 여성은 과연 인간 승리의 훌륭한 여성일까? 


개인적으로 볼 때 위의 두 가지 사례의 여성들은 훌륭하게 자신의 삶의 무게를 잘 감당하는 분들이라고 볼 수 있겠다. 그렇지만 가족 치료의 관점에서 보면 이 이야기는 조금 달라진다. 각 가족들은 일정한 가족 체계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이 체계를 일정한 같은 상태로 지속시키려고 하는 ‘항상성’의 개념으로 지속된다는 것이다. 다른 말로 하면 이 여성분들은 자신의 가족의 체계를 유지하려고 하는 항상성의 원리에 의해서 가족의 체계를 균형 있게 유지하기 위한 반응으로 삶의 방식을 선택했다는 것이다. 첫 번째 여성 분은 무관심한 남편에 반대의 모습을 통해 균형을 이루려고 했고 두번째 여성은 자신이라도 책임감 있게 살아야 가정이 지켜질 수 있을 거라는 생각에서 열심히 살아온 것이다.


이렇게 양극화된 모습으로 균형을 찾으려는 시도를 할 때 가족은 일시적으로 위기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그렇게 해서 살아남은 가족의 체계는 건강하게 유지되기가 어렵다. 첫 번째 예에서는 아이들은 아버지와 건강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기가 쉽지 않고 부부 관계는 건강하지 않아서 갈등이 생기기 쉽다. 두 번째 예에서 희생만 하고 수고하면서 살아갈 때 동생은 책임감 있는 삶을 살기가 어렵고 본인은 억압하고 참은 자신의 욕구의 불충족이 우울증이나 신체적인 질병으로 나중에 이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위의 두 가정은 어떻게 해야 건강한 가정이 될 수 있을까? 라고 질문을 하고 싶을 것 같다. 가족 치료사들은 가족이 ‘항상성’의 개념으로 인해 잘 변화하려고 하지 않기 때문에 가족 체계 자체를 재설정 (Reset) 또는 재 구조화 (Restructuring)를 해야 한다고 말한다. 건강하지 않은 가족의 체계의 패턴을 건강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새롭게 바꾸어서 그것이 새로운 체계를 이루어 정착되어 새로운 ‘항상성’을 갖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첫 번째 가정의 경우에는 부모의 역할 조정을 통해서 새로운 가족 체계 패턴을 만드는 것을 시도해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외된 아빠에게 ‘좋은 아빠’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아빠와 아이들이 아주 재미있는 활동을 함께 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엄마는 자녀들과 거리를 조금 더 두고 대신 남편과 대화의 시간을 더 가지고 남편과의 친밀감을 도모하는 일을 시도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는 과정을 통해 가족은 새로운 형태의 가족 체계를 만들어 갈 수 있는 데 중요한 것은 일관성과 인내를 가지고 시도하는 것이다.


두 번째 가족의 경우, 이 여성은 자신의 책임을 내려 놓는 부분이 필요하다. 싫어하는 동생에게 라도 억지로 역할을 나누어서 주는 것이 필요하고 자신을 위해서 시간을 투자하고 사랑을 찾아가는 것도 필요하다. 처음에는 어색하고 일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고 가족들의 반발이나 저항이 보일 수 있지만 그런 변화를 시도할 때 가족은 새로운 형태의 재조정을 경험하게 된다.


착한 사람, 나쁜 사람, 책임감이 많은 사람과 적은 사람이 처음부터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의 체계를 유지하기 위한 반응으로 생겨났을 수 있다. 우리 모두는 어느 정도의 악을 가지고 있지만 신의 성품을 닮은 선한 사람이며 우리 모두는 때로 어린 아이처럼 책임감 없이 뛰어 놀 수 있지만 주어진 삶의 책임을 감당할 수 있는 사람이다. ‘가족’ 이라고 하는 작지만 거대한 체계가 나의 삶의 역할을 규정해 버려서 줄에 발이 묶인 코끼리처럼 거기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생각하지 않기를 바란다. 가족은 서로서로 영향력을 주고받는 살아있는 공동체로 성장하고 변화하고 아름다워질 수 있다. 

 

호주기독교대학 김훈 박사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8 / 1 페이지
RSS
번호
제목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