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관계 개선과 스키마
작성자 정보
- 코리안라이프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7 조회
- 목록
본문
외모가 눈에 띄게 멋지고, 좋은 학력과 직장을 가진 사람들을 보면, 우리는 그들이 행복한 가정에서 자랐고 과거도 평탄했을 거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돌싱글스’ 같은 프로그램을 보면, 겉으로는 멋진 사람들에게도 깊은 아픔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방송이기 때문에 출연자들은 하나같이 잘생기고 능력 있는 남성, 예쁘고 똑똑한 여성들입니다. 최근 방영된 시즌 7에서는 특히 외모와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등장했지만, 모두 이혼의 아픔을 경험했고, 어떤 사람은 두 번의 이혼을, 또 어떤 사람은 부모님의 이혼까지 겪은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중 ‘도형’이라는 인물은 처음엔 고생 없이 자란 귀공자처럼 보였지만, 실제로는 행복한 가정에서 자라지 못했고, 부모님의 이혼과 재혼을 겪었다고 고백합니다. 도형의 이야기처럼, 우리는 모두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을 원하지만, 공부를 많이 했다고 해서, 돈을 잘 번다고 해서, 외모가 뛰어나다고 해서 반드시 행복한 가정을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수용전념치료와 스키마 치료의 적용
부부관계에 적용되는 심리치료 기법 중 하나로 수용전념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책 『부부 관계 향상을 위한 수용전념치료』에서 저자 Avigail Lev와 Matthew McKay는, 부부 사이가 어려워졌을 때 각자의 스키마(Schema)를 확인함으로써 관계의 원인과 현재 상태, 앞으로의 방향을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수용전념치료와 스키마 치료(Schema Therapy)는 모두 인지행동치료에서 발전한 기법입니다. 특히 스키마 치료는 일반적인 인지행동치료가 잘 작동하지 않는 장기적이고 고질적인 문제나 인격장애 같은 복잡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ACT는 문제를 없애려는 시도보다는, 문제를 수용하고 인정하면서도 그것에 집중하지 않고, 내가 원하는 가치 있는 삶에 초점을 맞추는 방식입니다. 고통이 있어도 그것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죠. 이 두 가지 치료법을 부부관계에 적용했을 때, 실제로 관계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고 합니다.
스키마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
스키마란 어린 시절과 성장 과정에서 형성된 고착된 신념 체계를 말합니다. 어떤 사람은 이 신념대로 살아가고, 어떤 사람은 이를 부정하며 살아갑니다. 이 신념은 부부관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정서적 결핍을 많이 경험한 사람은 “아무도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 “아무도 나를 돌봐주지 않는다”, “그래서 누구도 신뢰할 수 없다” 라는 신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저자들은 부부관계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스키마가 8가지 있다고 설명합니다.
많은 부부는 스트레스가 없는 상황에서는 잘 지냅니다. 사랑에 빠졌을 때는 문제가 없어 보이고, 문제도 잘 해결할 수 있을 것처럼 느껴지죠. 하지만 결혼 후 서로 다른 점이 부딪히고, 부모님과의 소통, 임신, 실직 등 다양한 어려움이 생기면, 어린 시절에 형성된 스키마가 관계에 깊이 작용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정서적 결핍 스키마를 가진 사람은 배우자가 자신을 돌봐주지 않는다고 느끼고 실망하며 마음을 닫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끊임없이 배우자의 사랑을 확인하려 하고, 돌봄을 요구하는 행동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이런 요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화를 내거나, 사랑을 구걸하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관계 회복을 위한 첫걸음
따라서 스트레스 상황에서 내가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어떤 스키마를 가지고 성장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부부관계의 상호작용 패턴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자신의 스키마를 모른 채 상대방에게만 문제를 돌리는 경우, 근본적인 원인을 보지 못해 관계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결국, 능력이나 외적 조건과 상관없이 부부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은 자신의 상처로 인해 형성된 스키마를 먼저 이해하는 것이 문제 해결의 출발점이 됩니다.
스키마는 어린 시절에 형성되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을 진리처럼 믿고 살아갑니다. 하지만 성인이 된 이후에는 그 신념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나의 스키마를 알아가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그럴 때, 부부관계의 실마리를 풀 수 있을 것입니다.
호주카리스대학 서미진 박사
관련자료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