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난의 대화 습관
작성자 정보
- 칼럼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83 조회
- 목록
본문
남편이 아내에게 말한다. “왜 ! 이 로션을 여기에다가 넣었어? 없어서 아이들이 찾고 있었는데.. 여기에 넣어두면 날짜가 지나서 아무도 사용을 못하게 되잖아!” 그러자 아내가 변명하듯 이야기한다. “아이들이 쓸 게 많아서 욕실에 둘 수 없었는데 다른 곳에도 자리가 없어서 거기에 넣어 두었어!” 아내는 그렇게 답변을 하면서도 기분이 나빠진다. 그리고는 평소에는 아침에 토스트를 구우면 같이 먹자고 남편에게 이야기를 하는데, 이야기를 하지 않고 혼자서 먹고는 얼른 자리를 뜬다.
사람은 감정이 상하면 상한 감정으로 인해 부정적인 반응이 나온다. 감정은 움직이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부부 문제를 오랫동안 연구한 존 가트만 박사님은 부부 문제는 갈등의 내용에 있기 보다는 갈등을 담는 형식 즉 상호 작용의 패턴에 있다고 본다. 갈등을 잘 풀어나가지 못하는 부부는 파괴적이고 서로에게 상처를 주는 대화의 방식이 있다고 말한다. 그 중에 대표적인 하나의 유형이 ‘비난’이다. ‘비폭력 대화’의 저자, 마셀 로젠버그는 평화로운 대화법을 연구하여 전세계의 분쟁이나 작은 갈등을 해소하는데 효과적인 대화법을 개발하여 그것을 다양한 환경에 적용을 하는데 부부 관계에도 그것을 적용한다. 그런데 평화를 깨뜨리며 폭력을 일으키는 의사소통의 여러가지 유형을 설명하면서 거기에 비난을 포함시키고 있다.
‘비난’ 게임은 많은 가정에서 부부 관계에서 흔히 발생하는데 이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게 하기도 하고 자신을 합리화시키기도 하고 누군가를 희생양으로 삼기도 한다. 비난을 받는 사람은 존중을 받지 못했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고 억울함을 느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비난을 하는 사람에 대해서 저항감을 느끼게 된다. 대부분 비난을 받으면 공격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맞짱을 뜨게 된다. 비난한 사람이 잘못한 것도 같이 찾아서 잘못을 지적하게 된다. 예를 들면, 위의 예에서 공격적인 아내는 변명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래서, 당신은 맨날 로션을 아무 때나 늘어 놓는 거야!” 라고 말이다. 수동 공격적인 사람은 사람은 비난을 한 사람에게 겉으로 표현은 안해도 “너는 잘하니? 너나 잘해!” 라는 생각을 하거나 아니면 위의 경우처럼 수동적인 사람은 변명을 늘어 놓게 된다. 이 모든 반응은 건강하지 않은 반응인데 비난이라고 하는 것이 감정이 섞여 있는 공격의 표현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비난의 말들은 사람으로 하여금 ‘자기 방어’를 사용하게 만든다. 공격을 받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고 싶어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자기 방어의 방식이 나타나고 그 방식은 평소에 스트레스를 받을 때 사용하는 건강하지 않은 의사소통의 방식으로 표현되어진다. 비난을 하는 사람의 내면에는 “나는 괜찮고 (I am okay) 너는 잘못되었어 (You are not Okay)” 라고 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거나 “나는 안 괜찮지만 ( I am not okay) 그런데 너도 한참이나 잘못되었어 (You are not okay)” 라고 하는 태도를 가진 경우가 많다. 비난은 오래된 인류 역사와 함께 있어왔던 부분이다. 지금도 비난은 많은 조직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진다. 조직에서는 잘못이 발생했을 때 비난 받을 대상을 정하고 그 대상으로 하여금 책임을 지게 함으로 갈등을 해소하고 조직의 기능을 유지시켜 나간다. 예를 들어, 어떤 비리 사건이 발생할 경우 모두를 처벌하기 보다는 몇몇에게 책임을 돌리고 문제를 해결하는 일들이 그런 경우다.
한 사람에게 비난을 돌림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가정에 적용하는 부모가 있다고 할 때 자칫 한 대상을 희생양으로 삼게 된다. 동생이 맞아서 울고 있을 때 동생이 피해자라는 생각을 부모가 하고 언니를 무조건 야단을 치는 부모들을 우리는 종종 보게 되는데 이 경우에 언니는 희생자가 된다. 언니를 희생자로 삼아 비난함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부모와 그 희생을 당하는 언니가 있게 된다. 그러나 아이러니 하게도 그런 비난을 받은 언니는 부모가 없을 때 동생을 학대하는 진짜 가해자가 되어지는 경우가 많다. 결국, 가정에서 누군가에게 과도한 책임을 지우게 하는 비난이라고 하는 방식의 문제 해결 방법은 ‘역기능 가정(dysfunctional family)’을 산출하게 만든다.
그렇다면 비난 대신에 우리는 어떤 방법의 의사표현을 사용해야 할까? 코칭 리더십에서는 가장 중요한 코칭의 기술로 “질문, 경청, 피드백”을 이야기하는데 변화가 필요한 부분이 있을 때 왜! 라고 하는 비난의 말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피드백을 통해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코칭에서는 좋은 피드백은 인정, 교정과 지지의 말, 칭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이야기를 한다. 실수나 잘못한 일이 있을 때 비난으로 나가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존재를 먼저 인정해주고 나서 고쳐야 하는 부분을 직접적이고 솔직하게 이야기를 하고 그 다음에 다시 칭찬으로 마무리를 해주라는 것이다.
그러면, 위의 사례에서 남편은 비난 대신에 아내에게 어떻게 이야기를 해야 할까? 코칭의 피드백 방법으로 이야기를 하면 “여보, 당신은 정리를 참 잘 하는 것 같아. 집이 깨끗해 져서 좋지.. 이 로션들은 아이들 화장실에 갔다 놓을래? 아이들이 찾던 것 같아. 그러면 유통기한 내에 쓸 수 있어서 좋을 거야. 아이들도 이 로션이 있어서 좋아할 것 같네. 잘 보관해서 좋네.” 라고 이야기를 할 수 있다. 이것은 인정, 교정요청, 칭찬의 공식을 사용한 것이다.
아니면 비폭력의 대화 방법으로는 이렇게 할 수 있다. “여보, 여기 찬장을 열어 보니 로션이 많이 있네. 아이들이 로션을 찾았는 데… 이 속에 있다가 유통기한이 끝나서 못쓰게 될까봐 염려가 되네. 아이들이 제 때 필요한 것을 잘 쓸 수 있는 것이 나의 바램이야. 아이들이 잘 쓸 수 있게 다른 곳으로 옮겨놓을 수 있을까? 어떻게 생각해 ?“ 이것은 관찰, 감정, 필요, 부탁의 공식을 사용한 것이다.
만약 남편이 이렇게 말을 하면 아내는 변명을 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자존감에 전혀 손상을 입지 않고 오히려 존중감을 느끼게 되기 때문이다. 그럴 때 아내는 변명 대신 “그래, 알았어~ 욕실에 둘 자리가 있는 지 확인해 봐야겠네. 유통기한이 되기 전에 찾아서 다행이네. 잘했네” 그리고는 즐거운 마음으로 토스트를 구워서 남편에게도 함께 먹자고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비난’ 이라고 하는 것은 인간 존중이라고 하는 가장 중요한 태도를 손상시킨다. 그러므로 좋은 의사소통을 통해서 관계를 세우고자 하는 사람은 ‘비난’ 대신에 건설적인 피드백을 표현해 주거나 비폭력대화의 방식을 통해 평화적인 방식으로 요청을 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연습해야 한다. ‘비난’의 습관은 역사와 그 뿌리가 깊을 수 있으나 반드시 변화가 필요한 나쁜 대화 방식인 것을 잊어버리지 말자.
호주기독교대학 서미진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