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칼럼

요즘 시대에 어른 공경?

작성자 정보

  • 칼럼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언젠가 자녀를 4명 두고 있는 목사님께서 그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자신은 아이들에게 십분의 일은 하나님께로 십분의 일은 부모님께로 바쳐야 한다고 교육을 한다는 것이다. 다 자녀를 두고 있는 필자는 그 분의 말을 심각하게 듣고 우리 아이들에게도 교육을 해야겠다고 생각을 하며 하나님과 함께 부모도 섬기는 것의 중요성을 아이들에게 조금씩 이야기를 하곤 했다. 그런데, 세월이 많이 흘러서 그 분을 만나 보았을 때 자신이 한 말을 잊어버리고 계신 것을 보면서 당황한 기억이 있다.


한국 문화에서는 어른을 공경하고 섬기는 것이 아주 자연스러운 것이고 집안에서도 어른들에게 인사를 하거나 명절에 방문을 하는 것 또는 어른들에게 용돈을 주는 것과 같은 섬김은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한국에서 어른들에게 성인이 된 자녀가 용돈을 주는 것은 그 만큼 부모가 자녀들에게 먼저 베풀어 주고 희생하며 사랑을 베풀어준 것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다른 말로 하면 부모가 베풀어 주었던 은혜에 대해 자녀들이 되 갚아 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래서 그런지, 노인이 된 필자의 부모님들은 돈을 벌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가끔 방문할 때 모아놓은 용돈으로 자녀들에게 용돈을 주셨고, 자녀들은 그것에 감사하며 반대로 부모님께 용돈을 주는 일을 했다. 어찌보면 준 것을 도로 받는 것 같은 똑 같은 행위 같지만, 그런 주고 받음을 통해 서로가 서로를 사랑하는 마음을 확인하게 되기도 하고, 또 이런 전통은 결혼이나 장례와 같은 크고 작은 일들이 가정에 있을 때 서로의 필요를 채워주는 역할을 해왔다. 


그런데, 세월이 흐르고 많은 문화의 변화가 일어나면서 주고받는 것, 서로가 서로를 돌봐주는 것, 공동체를 생각하는 것 등이 옛날 보다 많이 희석이 되었다. 특히, 호주에서 자란 한인 가정의 아이들은 ‘효’라고 하는 개념과 서로가 서로를 돌본다는 개념을 배워나가는 것이 쉽지가 않다. 한국은 여전히 ‘효’라고 하는 것을 중요시 여기고 어른을 돌보는 것을 미덕으로 생각하지만, 호주에서는 개인주의가 팽배해져 있어서 부모님께 많은 의존을 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그 부모님을 잘 돌봐 주지도 않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는 것을 보게 된다. 


한국 문화와 호주 문화가 섞여 있는 한인 가정을 살펴보면 여전히 부모는 자녀에게 극진한 사랑과 무조건적인 돌봄을 베풀어주는 경우가 많은데, 자녀들은 그것을 당연하게 여기면서 잘 자랐음에도 불구하고 직업을 얻은 성인이 되어서는 되갚아 주는 과정이 없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아이들은 두 문화 중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부분만 배워서 어쩌면 그것을 활용하는 것처럼 보여질 때가 있다. 한국을 방문했을 때 많은 친척들이 용돈을 주고 돌봐주는 것은 한국에 있는 배워야 할 좋은 문화중 하나인데, 그것의 목적을 잘 알지 못하고 받기만 한 아이들이 성인이 되었기에, 이제는 반대로 자신들이 가족들을 돌보고 챙겨주어야 하는데 자신은 그렇게 할 줄 모르는 젊은이들이 더 많은 것 같다. 그래서 자신이 성인이 되어서 직장인이 되었어도 가족과 나누거나 타인과 나누는 것에는 쓰지 않고, 자신만을 위해서 쓰는 자녀들의 세대를 보면 조금은 우려가 되는 부분이 사실이다.


몇 주전 태국에서 만난 한 선교사님 사모님은 여러 사모님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이번에 태국 여행을 하는데 결혼을 하지 않은 성인 자녀들이 용돈을 어떻게 주었는 지를 이야기 해주셨다. 거기 계신 사모님들 중 유일하게 그 분만 결혼하지 않은 자녀로부터 정기적으로 자녀에게 용돈을 받고 계셨고 여행을 할 때 자녀들이 기쁨으로 부모님을 지원하고 있었다. 그 분의 경우, 선교지에서 선교사로 힘들게 살아가는 동안 가족들이 사랑으로 늘 섬겨주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 선교사님은 자녀들에게 친척들이 베풀어준 사랑을 잊지 말고 보답해야 한다고 늘 아이들에게 말했다고 한다. 그리고 자녀들이 부모님을 섬겨주면 ‘너도 힘들 텐데 이런 것, 구지 안해도 돼 !’ 라고 말하지 않고 ‘고맙다’. ’참 잘하네’ 라고 그것을 기쁨으로 잘 받아들이고 그것을 권장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 선교사님의 자녀들은 작은 것이라도 친척들까지 챙기는 일을 하고 있다고 한다. 요즘 그런 젊은이들이 없다 보니 사모님은 자녀교육을 잘했다고 친척들 사이에 칭찬을 많이 받는다고 한다. 그 사모님은 자녀에게 주는 것과 받는 것을 아주 잘 하고 계신 분이셨다. 


부모가 무조건 적인 사랑을 자녀에게 베풀어 주어야 하지만 삶에서 가족을 어떻게 돌보며 또 사람들과 어떻게 나누며 살아야 하는지, 재정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 지를 그 사모님처럼 가르쳐 주는 것은 중요한 삶의 부분이라 생각된다.


얼마 전, 호주에서 한 엄마가 하는 이야기를 들었다. 아들만 있는 엄마다 보니 자신의 생일을 챙겨주는 것에 대해서 대수롭게 생각을 하지 않았었다고 한다. ‘그럴 수 있지’라고 생각하고 지내왔는데, 그런데 어느 날 가족이 생일을 챙겨주지 않아서 너무 너무 섭섭했고, 그것을 가족들에게 심각하게 표현을 했다고 한다. 돈이 문제이거나 생일이 중요해서가 아니라 엄마에 대해서 자녀들이 기억하고 생각하며, 사랑을 표현하는 것이 엄마에게는 중요함을 알려 주었다고 한다. 다행히 엄마의 진심을 이해한 자녀들은 그 다음부터 엄마의 생일을 기억하고, 각자 나름대로 정성을 담아 챙겨주기 시작했다고 한다.


부부 관계, 부모와 자녀 관계, 가족들과의 관계 모두 일방적인 관계는 없다. 한 쪽이 너무 희생적이고 일방적이다 보면 지치고 돌아오지 않는 보상으로 인해 피해의식마저 생겨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가끔 일방적으로 배우자나 남자 친구가 너무 잘 해 준다고 할 때, 그것이 그래서 좋은 것 만은 아닐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므로 부모가 자녀에게 많은 것을 주지만 자녀에게도 부모를 공경하며 부모와 가족을 돌보는 일에 대해서 알려주고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의 좋은 전통인 어른을 공경하고 돌보는 정신은 아이들에게 알려주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필자의 가정은 위의 선교사님처럼은 아니나 어릴 때부터 가족의 기념일을 특별하게 축하해 주는 것을 중요하게 여겨서 지금도 생일이 되면 당연히 생일자가 원하는 선물을 사주고, 생일자가 원하는 식사를 준비해서 카드를 손수 직접 만들고 사랑이 담긴 편지를 쓰고 그것을 충분히 느끼게 해주는 일을 하고 있다. 언젠가 할아버지, 할머니와 고모님이 각각 다른 시기에 우리 집에 와서 가사일을 도와준 일이 있었는데, 그 분들이 한국으로 돌아가기 전에 아이들은 자발적으로 감사한 마음의 플랭카드를 만들고 파티를 열고 카드를 만들고 그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였다.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가정의 전통을 어른들에게 적용한 것이다. 그 분들에게 그 기억이 각인이 되어 두고두고 식구들 사이에 회자되었던 기억이 있다.


그러므로, 가정에서 부모가 어떻게 어른을 섬기고 돌봐주는 지에 대해서 모범을 보이며, 그런 삶의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며 살아가되, 동시에 말로도 교육하고 알려주며 훈련하여서 주고 받는 한국의 좋은 전통, 무엇보다 어른을 잘 섬기는 전통이 가정에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호주기독교대학 김훈 박사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0 / 1 페이지
RSS
번호
제목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