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식품업계, ‘건강별(Health Star Rating)’ 의무화 논의 본격화
작성자 정보
- 코리안라이프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4 조회
- 목록
본문

호주 정부가 10년 넘게 운영해온 건강별 표시제(Health Star Rating, HSR)가 업계의 낮은 참여율로 인해 곧 의무화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현재 포장식품의 37%만 건강별 표시를 도입했으며, 정부 목표였던 70%에 크게 못 미쳤습니다.
문제는 업계가 별점이 높은 제품에는 적극적으로 표시하지만, 낮은 제품에는 거의 표시하지 않아 소비자 혼란을 초래한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5성 제품은 61%가 표시된 반면, 0.5성 제품은 16%만 표시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건강 정보가 아닌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조지 연구소의 알렉산드라 존스 교수는 “간단한 영양 정보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의무화를 촉구했습니다. 빅헬스의 안나 피터스 교수는 “호주인의 42% 에너지가 초가공식품에서 나오고, 슈퍼마켓의 60%가 비건강식품으로 채워져 있다”며 제도 강화를 강조했습니다.
식품표준청(FSANZ)은 2026년 초 최종 업계 참여율을 보고할 예정이며, 이후 식품장관들이 의무화 여부를 결정합니다. 의무화가 추진되면 내년 말까지 규제 표준이 마련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소식을 전하며,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제공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금 느낍니다. 업계의 선택적 참여가 아닌 제도적 강제가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핵심이 될 것입니다.
관련자료
-
링크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